안녕하세요!
오늘은 정말 어마어마한 정보 하나 들고 왔어요.
정부에서 무려 전세금의 80%를 대신 내주는 제도, 그것도 선착순 1만 가구에게 지원하는 꿀정책이 나왔거든요.
이건 진짜 꼭 신청해야 하는 정책입니다.
특히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전세 들어가려는 분들, 이 글 끝까지 읽으셔야 해요!
1. 전세금 80%를 정부가 대신 내준다고요?
맞습니다. 전세 들어갈 때 가장 큰 부담이 바로 보증금이잖아요.
그런데 이번에 정부가 “그 보증금의 80%를 우리가 내줄게!” 하고 나섰어요.
근데 이게 아파트에는 적용 안 되고, 비(非)아파트 주택만 해당돼요.
즉, 빌라, 오피스텔, 연립, 단독, 원룸 등이 대상입니다.
🧾 이게 원래 있던 제도라고요?
네, 사실 이 전세임대 방식은 기존에도 있었던 정책이에요.
근데 문제는 뭐였냐면요?
- 소득 기준이 너무 낮고
- 자산 기준도 까다로웠어요
- 사실상 극저소득층만 대상이었죠
근데 이번에 완전히 달라졌습니다!
✨ 이번엔 중산층도 OK! 소득·자산 안 본다!
이제는 소득도, 자산도 안 봅니다.
- 연봉 1억이어도 가능
- 자산 많아도 가능
-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!
물론 신혼부부, 다자녀, 출산가정 등은 우선순위를 받긴 하지만,
전체 1만 가구 모두 다 우선순위로 배정되진 않기 때문에 중산층도 도전해볼 수 있어요!
✅ 신청은 이렇게 합니다
- 전세 들어갈 집을 내가 먼저 구한다
- 그 집 정보를 가지고 LH에 신청
- LH가 집주인과 계약
- 나는 LH와 입주계약 (보증금 20%만 부담)
→ 구조상 세입자는 LH!
→ 나는 LH한테 들어가 사는 개념!
💰 실제 금액 계산 예시
보증금 한도는 이렇게 정해져 있어요:
- 수도권: 최대 2억 원
- 광역시: 최대 1억 2천만 원
예시: 전세금 2억짜리 집이라면?
- 정부 지원 1억 6천만 원 (80%)
- 본인 부담 4천만 원 (20%)
💡 이자도 있지만, 훨씬 싸다!
정부가 내준 금액에 대해서는 1~2% 이자가 있어요.
예를 들어 2억짜리 전세일 경우:
- 이자 1% 적용 시 → 월 약 16만 원
- 일반 전세대출 시 → 월 약 60만 원 (4% 기준)
즉, 이자 부담 75% 절감!
🚨 전세사고?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
- LH가 집주인과 계약 → 나는 그 집에 사는 구조
- 전세사고 발생 시 LH가 책임
- 나는 안전하게 거주만 하면 OK
전세사고 걱정 없이 살 수 있다는 게 엄청난 장점!
📅 모집 일정은?
- 2025년: 총 1만 가구 모집
- 1차 5,000가구 → 곧 모집 공고
- 2차 5,000가구 → 다음 달
모집 공고는 LH 홈페이지에서 확인!
대부분 이걸 모르고 지나치니까, 지금 미리 체크해두세요!
📌 핵심 요약표
항목 | 내용 |
---|---|
지원 대상 | 무주택자 누구나 (소득·자산 무관) |
적용 주택 | 빌라, 연립, 단독,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|
지원 비율 | 전세금의 최대 80% |
한도 | 수도권 2억 / 광역시 1.2억 |
이자 | 연 1~2% |
계약 방식 | LH가 집주인과 계약, 나는 LH와 입주계약 |
거주기간 | 2년 갱신, 최대 8년 |
신청 | LH 홈페이지에서 모집 공고 확인 |
🎯 마무리 한마디
✔️ 전세금 80% 지원
✔️ 전세사고 걱정 無
✔️ 이자 부담도 대폭 절감
✔️ 중산층 누구나 가능
빌라나 연립, 오피스텔 등 전세를 고민 중이시라면, 이 제도 꼭 활용해보세요!
선착순이니까 빠르게 준비하는 게 핵심!
LH 공고 뜨면 바로 알려드릴게요! 오늘도 알찬 정보로 집 걱정 조금 덜어가세요 🏡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묭 내한 콘서트 완전 정리🎶 공연 관람 꿀팁!! 아이묭은 누구인가?! (1) | 2025.04.20 |
---|---|
2025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! 추가 보조금 80%?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! (1) | 2025.04.19 |
2025년 실업급여 실수령액 ! 수급 조건, 변경사항, 퇴사 전에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(0) | 2025.04.16 |
추석 선물 인기순위 싸게 파는 곳 (5) | 2023.09.07 |
비 오는 꿈 해몽 (2) | 2023.08.31 |
댓글